티스토리 뷰
목차
결혼을 앞둔 신혼부부에게 반가운 소식! 2025년 결혼장려금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됩니다. 과연 내가 사는 지역에서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전국 지자체별 결혼장려금을 쉽고 빠르게 비교해 보세요!
공주시 결혼장려금 – 500만원 지원
공주시는 2025년 5월부터 만18세~45세 신혼부부에게 최대 500만원을 공주페이로 지원합니다.
혼인신고 1년 전부터 공주시에 거주했으며, 부부 모두 현재 거주 중이어야 합니다. 지원금은 3회 분할 지급됩니다.
신청 제외: 거주 조건 미충족 또는 이혼 시 지원금 중단
전북 김제·순창 등 – 최대 1,000만원 지급
순창군, 김제시, 장수군 등은 결혼장려금을 최대 1,000만원까지 지역화폐로 지원합니다.
특히 순창군은 4년에 걸쳐 5회 분할 지급하며, 김제시는 주거비 지원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지자체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대전광역시 – 광역 최초 500만원 현금 지급
대전시는 광역지자체 최초로 결혼장려금을 도입하여 50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합니다.
혼인신고 후 대전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한 만18~39세 부부가 대상이며, 신청 즉시 일회성 현금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시행 이후 혼인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 – 경기청년 결혼지원 100만원
경기도는 2025년 8월부터 경기청년 결혼지원사업을 통해 2,650쌍에게 부부당 100만원을 현금 지원합니다.
지원대상은 경기도 거주 만19~39세, 연소득 8천만원 이하이며, 소득수준과 거주기간에 따라 우선 선발됩니다.
지역별 결혼장려금 지원금액 한눈에 보기
지역 | 최대 지원금액 | 지급 방식 |
---|---|---|
공주시 | 500만원 | 지역화폐 |
김제·순창 등 | 1,000만원 | 지역화폐 분할 지급 |
대전광역시 | 500만원 | 현금 일시 지급 |
경기도 | 100만원 | 현금 선발 지급 |
결혼장려금 똑똑하게 챙기는 방법
결혼장려금은 지역별로 지급조건과 방식이 다르니, 반드시 사전에 확인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거주지의 장려금을 확인하고 신청 시기를 놓치지 마세요!
다음 편에서는 신혼부부를 위한 신청 방법 및 조건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